전체보기900 다음 사회를 위한 평범한 사람들의 민주주의를 위해, 뜨겁게 토론하고 광장으로 갑시다. 안녕하세요.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임경지입니다. 나라가 아수라장입니다. 분노도 분노지만 허탈함과 참담함을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한쪽에서는 '수습'을 말하지만 우리는 '다음'을 이야기 합니다. 평범하게 일상을 살아가던 사람들이, 이 일상을 포기하지 않고 다음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시 민주주의를 이야기 하고, 다시 실천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저는 11월 5일, 감사하게도 20만명 시민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자리에 있었습니다. 사회를 제안받고 고민이 많았습니다. 다양한 국민들이 오는 자리에 혹여나 저의 말 한마디로 경계가, 위계가 생기지는 않을까 걱정했습니다. 그런데 무대 위로 올라간 뒤 그런 우려는 쓸데없는 것이라는 걸 알았습니다. 이미 시민들은 하나였고 변화를 향한 열망에 우리는 이미 모두 주권.. 2016. 11. 8. [활동보고] 9,10월 톺아보기 [활동보고] 9.26 살뜰-SH공사 간담회 9.26 국정감사 9.27 달문동 헬스장 10.3 세계주거의 날 10.10 UN 해비타트 3출국 기념 발표회 10.17-26 UN 해비타트 3@에콰도르 9.2 회원모임 좋은집탐사대9.9 해비타트 민간위원회 워크샵9.19 청년정책네트워크 살뜰 모임9.20.24 청년수당 주거 부분 강연9.22 회원모임 좋은집 탐사대9.26 살뜰-SH공사 간담회9.26 국정감사9.27 달문동 헬스장 시작10.3 세계주거의 날10.4 달문동 헬스장10.5 청년정책네트워크 살뜰 모임10.5 북가좌동 예비 입주자 교육10.6 UN해비타트 3 민간위원회 토론회10.10 UN 해비타트 3 출국 기념 발표회10.11 달문동 헬스장10.12 회원모임 좋은집 탐사대10.17-23 UN 해비타트 3.. 2016. 11. 8. [활동보고] LH달팽이집 설명회 @강북구수유동 @부천시송내동 비가 촉촉하게 내린 일요일 오후,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에서 새롭게 공급하는 LH 달팽이집의 설명회가 있었어요. @부천시 송내동설명회를 찾아와주신 분들과 부천 달팽이집에 대한 궁금증과 기대감을 서로 이야기해보고, 직접 집을 탐방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개인적인 공간이 확보되는 형태의 집에서, 청년들이 어떻게 커뮤니티를 꾸려나가며 살게될 지 궁금합니다,”"보증금과 월세는 부담 가능한 금액인데, 오피스텔 형태여서 그런지 관리비가 너무 높은 금액인 게 고민이에요.”“처음으로 독립하려고 하는데, 함께사는 집이라는 것이 안전하게 느껴져요.” @강북구 수유동가을비가 오는데도 많은 청년들이 함께 하는걸 보니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이 집이 소중한지 알 수 있었습니다. 처음 독립을 하는 이에게도 부담이 되지않는 집의 모습!.. 2016. 11. 3. 모여라 민달팽이 제주편 [일정개요]- 일시: 2016.10.02.(일) 14:00 ~ 16:00- 장소: 제주도청 청년문화카페 ‘파인땡큐’- 내용: 지역설명회 [세부내용]1) 서울/제주 청년들의 ‘집’ 이야기- 청년들이 살았던 집, 살고 있는 집, 살고 싶은 집 2) 청년주거문제와 민달팽이세대의 맥락(1)청년주거문제- 전국 가구의 주거빈곤율은 1995년 46.6%부터 꾸준히 개선되어 14.8%로 낮아지는 추세인데에 비해, 서울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빈곤율은 1995년 60%에 육박하던 것이 2000년에 30%를 웃돌며 낮아지는가 싶더니 이후 2005년 34.0%, 2010년 36.3%로 다시 주거빈곤율이 역전하여 높아지는 추세임.- 낮은 임금, 높은 주거비를 온전히 개인이 감당해야 하는 구조에서, 임대료 부과 체계 또한 열악한.. 2016. 11. 3.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2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