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900

[20170418] 민달팽이유니온 7대 정책 요구안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한국사회의 위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사회와 인구 및 가구 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는 이 현상들은 이전과는 다른 주거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말한다. 더 이상 건설 경기 부양과 매매위주 시장 정책, 그리고 대량 주택 공급으로는 새로운 주거문제를 풀 수가 없다. 이미 높아진 주택가격과 시한폭탄과도 같은 가계부채로 인해 자가소유촉진 정책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주택을 소유한 사람 중 부채 비율이 높은 하우스푸어, 높은 주거비 부담과 동시에 전세 보증금 대출 등으로 금융비용으로 고통받는 높은 렌트푸어, 청년과 같은 원룸푸어 등 주거문제는 대다수 시민이 겪는 보편적인 문제다. 이와 동시에 전체 가구의 11%가 전체 주택자산의 절반 이상인 51.7%을 보유하는 양극화가 나.. 2017. 4. 25.
[20170415] 청년유권자 라운드 테이블 "정치가 후지다. 그래서 투표 안 하고 싶다."5월 9일 대선을 앞두고 투표 하기 싫다는 한 청년의 말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작년 10월부터 시작된 촛불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과 퇴진으로 이어지면서 시작된 이번 대선, 새로운 기대가 생기시나요? 어떤 다른 삶을 원하시나요? 대통령이 바뀌면 내 삶이 바뀔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시나요?우리는 '좋은 정부'를 갖고 싶습니다. 우리는 '좋은 정책'을 만드는 '좋은 정부'를 갖고 싶습니다. 우리는 이미 '좋은 시민'입니다.새로운 사회를 위한 대통령의 자격과, 시민의 권리가 보장되는 청년정책을 다시 세워봅니다. 집단지성의 힘을 믿고, 민주주의에 기초한 유권자로서의 만남과 대화의 자리에 초대합니다.선거를 바꾸고, 사회를 바꾸는 그 시작, 여러분과 함께합니다![.. 2017. 4. 25.
[20170412] 2017 촛불대선 청년유권자 행동 선포 기자회견 #VoteFor 새로운 대한민국,2017 촛불대선 청년유권자 행동 선포 기자회견 시민들은 대선날짜를 바꾸었는데,후보들은 무엇을 바꾸고 있습니까! 공동주최 : 민달팽이유니온, 청년유니온, 청년참여연대, 광주청년정책네트워크, 수원청미래충전소, 시흥청년아티스트, 시흥나눔자리문화공동체, 심심한청년들(전주), 작은자유(남원), 제주청년네트워크, 청년고리(대전), 천도교청년회, 청년감자(시흥), 청년광장, 청년이 바라는 복지(전주),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한국청년연합(KYC), 함께가자 청년들(전주), 흥사단 전국청년위, 경기청년유니온, 경남청년유니온, 대구청년유니온, 부산청년유니온, 인천청년유니온, 청소년유니온, 광주청년유니온 등 (4월 11일 오후 3시 기준) 1. 귀 언론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 2017. 4. 25.
[후기] 2017대선맞이: 민달팽이 청년주거정책 오픈테이블 민달팽이유니온 2017 청년주거정책 오픈테이블 후기정다솔님이 작성해주셨어요. 감사합니다^^ 사람들은 ‘요즘 같은 시대에’ 라는 말을 쓴다. 과거에 비해 오늘의 사회가 더 나은 모습으로 진보했다고 많은 이들이 생각한다. 사회와 문화가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라 진보한다고 생각될 수 도 있겠지만 때로는 시대에 역행하는 정책들을 보면서, 오늘의 사회란 끊임 없는 노력으로 만들어 졌다는 것을 새삼 깨닫는다. 유력후보들이 너나 할 것 없이 ‘페미니즘 대통령’이 되겠다고 선언했다. 시대가 변해서가 아니라 그 안에서 여성주의 운동 진영들의 끊임 없는 문제제기와 투쟁들이 지금의 논의들을 말들어 낸 것이다. 이제 막 첫걸음을 내딛은 것이고 허울 뿐인 명제 속에서 제대로된 성차별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그 속을 또 치열하게 .. 2017.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