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900

[열혈회원 인터뷰]조금 가볍고 재밌어도 괜찮지 않나요? 한가람님 * 이달의 회원 인터뷰는 정릉 7호집에 입주조합원이자 이음이로 활동하고 계신 한가람 조합원님입니다. 인터뷰에는 김명철 회원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오늘 인터뷰는 7호집에 살고 계신 한가람 조합원님입니다. 자기 소개 부탁드릴게요! 저는 민달팽이 정릉 7호집에 살고 있는 한가람 이라고 합니다. 반갑습니다^^ 입주하신지 얼마 안되셨죠? 4월에 입주를 시작했으니까 이제 3달 정도 된 것 같아요. 맞아요. 그때 처음 뵌 것 같아요. 7호 포럼에서. 그때가 4월이었는데, 윤지수님을 통해 소개를 받았던 것 같아요. 민달팽이는 어떻게 알게 되셨나요? 대학 동기였던 친구가 K2에서 일을 하게 되면서, 정릉에 집을 냈다고(!) 들었어요. 친구와 만났을 때, 제 집 계약기간이 끝나가고 있었던 시기였는데 계약을 연장할거냐,.. 2017. 7. 7.
언론보도: 6월의 언론속 민달팽이 언론보도: 6월의 언론속 민달팽이 ☞ 후보별 주거정책 공약평가보러가기* 기사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가 새로 뜹니다. [06.01]"전·월세 상한제 도입 등 대통령 주거 공약 조속히 시행해야" 전국세입자협회와 민달팽이유니온 등 125개 주거·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주거권네트워크'는 1일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재인 정부는 공약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계획을 이른 시일 내 제출해야 한다...(연합뉴스)[06.01] 125개 시민단체 “전ㆍ월세 상한제-공공임대주택 확대 촉구” 전국세입자협회와 민달팽이유니온 등 125개 주거ㆍ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주거권네트워크’는 1일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재인 정부는 공약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과 계획을 이른 시일 내 제출해야...(헤럴드.. 2017. 7. 6.
국토연구원의 요청을 받아 청년 주거 문제 당사자를 찾습니다. 청년 주거 문제 '당사자'를 찾습니다!국토연구원에서는 ‘청년 주거 문제 해결’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자들의 풍성한 이야기로 보다 올바른 정책이 나올 수 있도록 민달팽이유니온은 간담회 후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토대로 별도로 주거의제 발굴과 해결과제 도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간담회를 시작으로 민달팽이유니온과 함께 청년 주거 정책 수립을 함께할 분들을 더욱 기다립니다. 대상 : 다음 중 하나 이상 해당하는 청년 (만19세 - 34세) 불법건축물 거주자 최저주거기준 미달(14제곱미터 미만, 독립된 욕실, 부엌 없음) 거주자 고시원 거주자 옥탑, 지하 거주자 소득 대비 주거비 30% 이상 지출 거주자 주거환경이 적절하지 못한 곳에 산다고 생각하는 거주자 독립하고 싶지만 경제적, 사회적 어려운 자.. 2017. 7. 5.
[토론문] 문재인 정부에 바란다. 청년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토론회 (7월 3일) 청년정책이 실질적인 삶의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기 위한 제언 민달팽이유니온 위원장 임경지 1. 청년정책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청년정책 실행의 규모화 1) ‘규모있는’ 청년정책의 필요성 2016 ‘서울형 청년 보장(Youth Guarantee)’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청년정책이 독립적인 정책 부문으로 다뤄지기 시작했음. 발표 당시, 5년간 7,136억원의 목표를 잡고 있으며 2016년에 편성된 예산 규모는 총 1209억원이었으며 2017년에는 약 1,800억원 규모로 다소 확장되었음. 하지만, 2016년에는 보건복지부의 직권 취소 등으로 인해 실제 예산 집행율은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2017년 역시 전년보다 증가했지만, 서울시 예산 약 29조 중 0.6%에 불과함. 청년정책이 독립적인 부문 정책으.. 2017.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