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달팽이유니온]/* 언론보도

[민달팽이 유니온] 3월 언론 보도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4. 3.


 *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로 이동합니다

 *  주택협동조합 기사  보러가기


3.4 [머니투데이] "원룸보다 비싼 기숙사" 한 학기 이용료가 200만원?

학생이 비용을 부담하고 대학이 소유권을 갖게 되지만 학생이 부담하는 비용을 산정하는 근거는 공개되지 않는다. 청년 주거권 운동 단체인 민달팽이 유니온 황수연 주거상담 팀장(25)은 "사립대들은 국공립대가 아니라 공개할 의무가 없다는 이유로 기숙사비 책정근거를 공개하지 않는다"며 "이들 대학을 대상으로 정보공개청구 행정소송을 준비하고 있다"고 알렸다.


3.6 [헤럴드경제] “비과세, 年임대소득 3천만원이상으로”

전국 세입자네트워크팀을 운영하는 권지웅 민달팽이 유니온 위원장은 “주택바우처 수급자를 늘린 건 단순히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를 확대한 수준에 불과하다”며 “정작 청년층 수혜자는 거의 없다”고 분석했다.

민달팽이 유니온의 임경지 세입자네트워크 팀장은 “월세 보증금 500만원이 없어 고시텔로 들어가는 이들도 상당하다”며 “(수혜자가 별로 없으니) 주택바우처가 뭔지 아는 사람도 극소수”라고 말했다.


3.6 [KBS뉴스] 한발 늦는 대학생 전세임대…학기초엔 떠돌이

<인터뷰> 임경지(민달팽이 유니온) : "권리 분석만 2~3주 걸리고, 계약을 간신히 했는데 잔금 지급이 3월 18일부터 된다고 해요. 그러면 학생들은 그 사이에.."

-> 영상 보러가기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821741


3.8 [YTN뉴스] '88만 원 세대' 외면...주택바우처도 미흡

[인터뷰:권지웅, 민달팽이 유니온 대표]
"청년들 같은 경우 소득의 3분의 1, 4분의 1을 주거비로 내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미래를 준비해야 할 청년들이 저축을 하지 못하고..."

-> 영상 보러가기 http://www.ytn.co.kr/_ln/0102_201403080456255433


3.12 [MBC뉴스] 청년 주거빈곤율 23.6%…주거대책에 청년 목소리는 없다

일단 박근혜 정부가 야심차게 행복주택을 공급하겠다고 시작했는데 행복주택의 핵심은 청년들, 사회 초년생, 대학생, 신혼부부에게 공급하겠다.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보통 그런 젊은 세대가 거의 들어가지 못하거든요. 그래서 거기까지 확대하겠다가 첫번째였고. 두번째는 도심에 짓겠다. 왜냐하면 청년들이 주로 교육받는 공간, 일하는 공간이 도심에 있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이것들이 사실은 조금 후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역주민들의 반발이라고는 하나 사실은 도심에 대규모로 짓는 것이기 때문에 좀더 사회적 합의를 얻기 위해서 더 노력했어야 했는데 노력하다가 이제 반대에 부딪치자 취소를 하고 줄이게 된 거죠. 저희가 볼 때는 그렇게 대규모로 공급하지 못한다 하면 지역을 나눠서 기존에 있는 주택을 사는 방식으로도 공급이 가능했을 텐데. 아예 목표물량을 낮춰버리는 바람에 실제로 많은 청년들이 수혜받지 못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까 우려가 있습니다.



권지웅/민달팽이 유니온 대표 : 건축적립금은 학생들의 어떤 편의를 위해서 사용해야 되는 부분인데 마치 그게 대학들끼리 쌓아놓기 경쟁하는 것처럼 실제 사용해야 될 곳에 쓰지 않고 두고 있는 상황이라.



3.17 [헤럴드경제] “주거복지 프로그램 도움됐다” 4% 불과

학업ㆍ직장 문제 등으로 부모와 떨어져 사는 서울의 ‘독립’ 청년 중 공공임대ㆍ주거급여(주택바우처)ㆍ전세금 대출 등 정부가 내놓은 주거복지 대책의 혜택을 입어 “도움이 됐다”는 이들은 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주거복지 시민단체 ‘민달팽이 유니온’이 작년 하반기 서울 거주 20∼35세 독립청년(상경 거주자 포함)을 대상으로 주거복지 프로그램 경험 여부를 포함한 주거실태 전반을 설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권지웅 민달팽이 유니온 위원장은 “각종 자격을 둬 저소득층, 특정 취약계층에만 집중됐던 공공임대 공급을 보편적으로 확대해야한다는 의견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3.20 [SBS 생활경제] 부동산 따라잡기 청년층 주거빈곤 갈수록 심각

영상 보러가기 https://www.facebook.com/photo.php?v=613767505365765&set=vb.228072457268607&type=2&theater


3.24 [경향신문] 시민사회단체 “대학교 민자 기숙사비 산정 기준 밝혀라”



3.26 [아시아경제] 행복주택 입주자 "부모 소득수준까지 따져야"

젊은 계층의 거주 기간이 4~6년인 점을 감안해 이 기간 늘어난 소득은 재계약시 반영하면 안 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권지웅 민달팽이유니온 대표는 "사회초년생은 시간이 지나면 소득수준 등 경제력이 높아지는 게 당연하다"면서 "거주기간 동안 목돈을 모아 나갈 수 있게 입주 후엔 소득수준에 대한 기준을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